6월, 2016의 게시물 표시

제주도 빙떡 유래와 맛, 가격 및 빙떡 만드는 법

이미지
제주도 하면 볼거리가 풍부한 여행지이기도 하지만 바다로 둘러싸인 섬으로 오랜 기간 독특한 문화를 형성한 독립된 지역의 특징이 뚜렷한 곳이기도 하다. 때문에 먹거리 또한 한국의 다른 지방과 달리 독특한 조리법과 맛을 보여주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조리 방법이 단순하고 원 재료가 지닌 맛과 싱싱함을 잘 살린 음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빙떡의 유래는 약 700년 전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정확하게 빙떡이 만들어진 이유는 모르지만 제주도는 육지와 달리 말 때문에 몽고로부터 약 100년간 직접 통치를 받는 아픈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그 와중에 메밀을 들여와 기르게 되면서 제주도의 무와 만나 빙떡이 탄생 된 것이 아닌가 추측이 가능하다. 처음 빙떡을 맛보면 심심한 것이 무나물 맛과 그냥 메밀전 맛이 어울려 '맛있다'라는 말보다 그냥 먹을만 하다는 것이 보편적인 평가일 것이다. 게다가 패스트푸드에 길들여진 청소년들은 무슨 맛으로 먹는지 궁금해 하는 것이 빙떡이지만 제주도에서는 크고 작은 행사에 빠지지 않는 것이 빙떡으로 부조를 대신하는 음식이기도 하다. 빙떡을 만드는 방법은 메밀가루와 무만 있으면 아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빙떡은 빙빙 돌려가면서 전을 부친다 해서 빙떡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말아놓은 모습이 멍석을 닮아 멍석떡, 홀아방떡, 전기떡 등으로 불린다. 재료는 메밀가루, 무, 실파(쪽파, 대파), 참기름, 깨소금, 돼지기름만 있으면 된다. 1. 먼저 무로 채를 썰고, 쪽파나 대파를 잘게 썰어 준비한다. 2. 채 썬 무를 물에 살짝 익힌 다음 참기름, 참깨, 실파 등을 넣고 무친다. 3. 메밀가루를 물을 넣고 반죽하되 가늘게 흘러내릴 정도로 반죽한다. 4. 반죽한 메밀을 달군 팬에 국자를 빙 빙 돌려가며, 지름 20cm 정도로 얇게 부친다. 5. 부친 메밀전에 무나물을 넣고 멍석 말듯이 돌 돌 말아 바구니에 담는다. 빙떡은 간장에 찍어 먹거나 다른 음식과 함께 먹으면 된다.

제주민속오일장 규모와 다양함에 놀라다

이미지
5일을 주기로 열리는 오일장은 어느 지역을 가든지 볼거리가 풍성한 것이 특징이다. 제주오일장 역시 지역마다 특산물이 다르고 그에 따른 먹거리 또한 다르지만 제주시에 자리하고 있는 제주민속오일장은 크기와 상품의 다양성, 방문객의 정도가 다른 여타 지역과는 다른 느낌을 주었다. 제주민속오일장은 2일과 7일에 열리는 5일장이다. 장마가 시작되면서 세찬 비가 내리는 속에도 제주민속오일장은 붐비고 있어 주차장은 만차상태를 보이고 있었다. 비가 오면 손님이 끊겨 자칫 을씨년스러운 오일장이 많지만 제주민속오일장은 비를 피할 수 있는 여건을 지니고 있어 그런지 상인들이나 고객들이 날씨에 상관없이 장을 찾았고 그래서 그런지 규모는 전국 어느 오일장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을 만큼 컸다. 규모가 큰 만큼 농산물, 수산물, 공산물, 축산물, 의류, 식당가 등이 정비가 되어 있어 고객들이 원하는 물건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건어물상가나 수산물상가에는 제주 특산물인 옥돔과 한치 등 다양한 수산물이 준비되어 있고 제주에서 생산되지 않는 전국 특산물 또한 취급하고 있어 구색이 잘 갖춰져 있었다. 청과물 역시 참외와 자두, 수박을 비롯해 한창 수확 중인 매실까지 푸짐하게 준비되어 있었으며, 제주 특산물인 망고를 비롯해 감귤 역시 다양한 품종이 준비되어 있었다. 농산물 가운데 곡물류는 여느 오일장이나 중심 상품이 되는데 제주민속오일장 역시 국내에서 생산되는 찹쌀, 대두, 서리태, 팥, 쌀과 보리, 조, 수수 등이 푸짐하고 다양하게 저렴한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다. 봄이 끝나가면서 모종상을 비롯해 꽃과 다양한 나무를 파는 상인들 또한 다양해 다육식물, 석부작, 선인장, 난초 등 다양한 상인들이 자신만의 상품을 판매하느라 수선을 떨고 있었다. 제주드는 일년 열두달 농사가 가능해 감자, 고구마, 브로콜리, 마늘, 당근 등 다양한 채소가 풍성하며 육지로 판매되는 양 또한 적지

제주도 생활에서 느낀 제주도의 특성

이미지
제주도에 들어와 생활한 지 8 개월 째로 접어들었다. 2015년 10월 말에 입도한 후 겨울과 봄 두 계절이 지났고 이제 여름을 맞이할 차례다. 지난 겨울은 많은 바람과 눈으로 제주도에서는 보기 드문 한파가 있었다고 한다. 때문에 많은 야자수가 추위로 인해 상처를 입었고 그 가운데 일부는 봄에 새싹을 피워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1. 제주도 기후와 날씨 모슬포에서 맞이한 제주도의 겨울, 모슬포는 마라도로 가는 길목인 제주도 최남단에 위치한 포구로 제주도에서 바람이 가장 많은 곳이기도 하다. 때문에 현지인들은 '못살포'가 모슬포로 변화한 것'이라고 할 만큼 바람이 많았고 덕분에(?) 모처럼 제주도를 찾아온 한파와 더불어 모진 겨울을 보낸 셈이다. 그럼에도 제주도의 겨울은 육지에 비하면 한결 수월한 것이 사실이다. 즉, 아무리 추워도 제주의 겨울은 육지에 비해 덜 춥고 반대로 여름은 덜 더워 농사를 짓거나 건축업과 간은 일을 진행하는데는 지장이 없는 곳으로 자신만 부지런하면 무엇을 하든 살아갈 수 있는 곳이다. 2. 제주도의 문화 제주도는 세계적인 관광지임에도 참 불친절한 곳이다. 물건을 사든 식당에서 밥을 먹든 주인의 무뚝뚝함과 불친절에 당황하게 된다. '손님이 왕이다'라는 문구는 이곳 제주에서 통하지 않는다. '사려면 사고 말라면 말아라' 식의 태도로 가끔 화가 치밀게 하는 주인의 행동은 '육지 것'에 대한 불신감이 깔려 있으며 그만큼 타지인에 대해 배타적이라는 것을 대변하는 듯 하다. 이러한 배경에는 제주도가 조선시대 때 유배지였다는 사실과 4.3사태의 참극이 자리하고 있다. 제주도에 부임하는 벼슬아치들은 하루라도 빨리 육지로 발령 나기를 기다리다 보니 선정을 베풀기 보다는 착취가 더 심했을 것이고, 4.3사태의 참극은 제주도 남녀 인구 불균형을 심화시킴과 동시에 육지인에 대한 불신과 원망을 키웠을 것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제주도민의 행